조회 수 6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하이카이의 형식

렌가(連歌)는 와카(和歌)의 「카미노쿠(上の句:長句) 5・7・5」와「시모노쿠(下の句:短句) 7・7」을 서로 번갈아 이어가는 시가 형식이다. 각 구는 독립적이며 앞의 구와의 사이에 시정을 구성하여 전체의 변화와 조화를 중시한다. 歌仙(三六)・世????(四四)・五〇韻・百韻・千区・万句 등의 형식이 있다. 하이카이(俳諧)는 「하이쿠노 렌가(俳諧之連歌)」를 가리키며 형식은 렌가와 동일이다. 5・7・5의 홋쿠(発句), 7・7의 (脇句) 이하 장단구(長短句)를 이어 나간다. 두 사람 이상 작자에 의한 공동 창작을 원칙으로 한다. 하이카이는 해학적인 골계미(滑稽美)와 통속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반복(くり返し)

  홋쿠(発句)는 렌가와 하이카이의 제1575를 말한다. 주인과 손님이 같은 공간에 있을 경우(主客一座)는 손님이 먼저 홋쿠를 읊는 것이 순서이며, 그 외 일반적인 자리에서는 신분의 높고 낮음, 연장자 순으로 시작한다. 홋쿠(発句)에는 반드시 키레지(切字)와 키다이(季題)를 필요로 한다. 메이지 시대 이후 하이카이(俳諧)는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에 의해 마침내 하이쿠(俳句)로 불리게 되었다.




한국하이쿠연맹 사무총장

문학박사 안수현




한국하이쿠칼럼

한국하이쿠 성장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소개합니다.

  1. The Aesthetics of Korea Haiku and Its New Challenges for Globalization

    Date2024.12.20 By김수성 Views17
    Read More
  2. 한국하이쿠의 미학과 세계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Date2024.12.20 By김수성 Views42
    Read More
  3. 인생의 혼돈 속에서 찾는 아름다움

    Date2024.10.03 By김수성 Views17
    Read More
  4. 하이쿠 창작활동과 기억 증진의 과학적 연관성

    Date2024.06.14 By김수성 Views52
    Read More
  5. 사생, ‘본 것’과 ‘느낀 것’의 이중성

    Date2023.11.13 By김수성 Views102
    Read More
  6.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6)

    Date2023.10.19 By안수현 Views113
    Read More
  7. 한국하이쿠, 우리의 짧은 호흡 속에 있다

    Date2023.09.06 By김수성 Views103
    Read More
  8.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5)

    Date2023.09.05 By안수현 Views87
    Read More
  9.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4)

    Date2023.08.03 By안수현 Views64
    Read More
  10.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3)

    Date2023.07.25 By안수현 Views65
    Read More
  11.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2)

    Date2023.07.15 By안수현 Views69
    Read More
  12. 안박사의 하이쿠 상식 (1)

    Date2023.07.05 By안수현 Views89
    Read More
  13. 식(食)문화와 하이쿠

    Date2023.06.01 Bywebmaster Views108
    Read More
  14. 조선통신사와 시조 그리고 하이쿠의 변천사?

    Date2023.05.15 Bywebmaster Views104
    Read More
  15. 한글 미학의 비상(飛翔)

    Date2023.05.01 Bywebmaster Views1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